[베링거 WING] 라우팅 (Routing)
목차
※ 알림
블로그에 적은 모든 포스트는 전공자나 전문가를 대상으로 적은 내용이 아님을 밝힙니다.
초보자이지만 꼭 알아야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있는 내용인 경우 최대한 축약해서 전달하려 했고 이 과정에서 초심자의 빠른 이해를 위해 실제 이론/현상과 차이가 있는 내용으로 뭉뚱그려 쉽게 표현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으로 인해 전문가분들의 강의와 상충되는 내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전공이나 전문가를 지향하는 경우 블로그보다 정식으로 이론서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1. 라우팅의 핵심 개념: "소스 → 채널 → 출력"
베링거 WING의 라우팅은 세 가지 단계로 구분하면 이해가 더 쉬우실 것입니다.
- 소스(Source): 물리적 입력, USB, SD 카드, AES50, StageBox, DAW 등 *
- 채널(Channel): 실제 믹싱에 사용되는 스트립 (48개의 스테레오 채널)
- 출력(Output): 물리적인 아웃풋, 버스, 매트릭스, FX 리턴 등
즉, 어떤 소스를 어느 채널에 연결하고, 해당 채널의 신호를 어디로 출력할 것인지 설정하는 것이 라우팅의 핵심입니다.
[베링거 WING] ROUTING(라우팅)-SOURCES(소스) 설정
베링거 WING의 ROUTING(라우팅) 페이지를 만지다 보면 SOURCES(소스) 인풋 설정을 바꾸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모노, 스테레오, M/S 전환은 채널 설정에서도 할 수 있지만 특정 설정들은 소스 설정에
admoneygo.com
✅ 2. 인풋 소스 라우팅: 소스를 채널로
- WING에서는 ‘채널’이 단순히 입력 번호를 따르는 구조가 아닙니다.
- 예를 들어, 1번 채널에는 아날로그 1번 입력, 2번 채널에는 USB 12번 입력을 할당하는 식으로 소스를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소스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다양합니다:
- Local Inputs (콘솔 자체의 입력)
- AES50 A/B/C (StageBox나 다른 WING 장비 연결)
- USB Audio (DAW 등)
- Playback (SD/USB), FX Return 등
- Dante, MADI 등 확장카드
➡️ 각 채널은 스테레오 혹은 모노 소스를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X32보다 훨씬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각 채널을 스테레오 / 모노 / M/S 등의 타입(포맷)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찾고 계시다면 아래 글을 확인해 보세요
[베링거 WING] ROUTING(라우팅)-SOURCES(소스) 설정
베링거 WING의 ROUTING(라우팅) 페이지를 만지다 보면 SOURCES(소스) 인풋 설정을 바꾸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모노, 스테레오, M/S 전환은 채널 설정에서도 할 수 있지만 특정 설정들은 소스 설정에
admoneygo.com
✅ 3. 출력 라우팅: 채널/버스를 아웃풋으로
- 출력 또한 사용자 설정이 매우 유연합니다.
- 예를 들어:
- Main L/R를 XLR Out 1-2로 보내거나,
- Bus 1-4를 AES50 A 5-8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 출력 가능한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XLR Outputs (1~8)
- AES50 (A/B/C)
- USB Audio
- SD Card Recording
- Aux Out (TRS)
- Monitor Bus
- WING Live Recorder (내장 SD 레코더)
- Dante, MADI 등 확장카드
➡️ 이러한 구성은 공연, 방송, 스튜디오 등 다양한 환경에 맞는 세밀한 신호 흐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4. 라우팅의 핵심 장점
- 채널과 소스를 분리: 채널 번호와 물리적 입력이 1:1로 고정되지 않습니다.
- 자유로운 출력 구성: 출력 경로 역시 자유롭게 사용자 정의가 가능합니다.
- 스테레오 기반 라우팅: 하나의 채널에 스테레오 소스를 자연스럽게 할당할 수 있습니다.
- 신호 분배의 유연성: 하나의 입력 소스를 여러 채널로 동시에 분배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레이블 및 색상 지정 기능: 시각적으로도 쉽게 정리가 가능합니다.
결론적으로 WING의 라우팅을 활용하면 현재의 믹서 사용법과 전혀 다른 형태의 응용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자신만의 운영 방법을 고민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 예시 시나리오
🎤 보컬 마이크는 StageBox AES50-A 1번, 기타는 Local Input 3번, MR은 USB 채널로 입력되며, 각 채널은 믹싱 후 Main L/R 및 IEM 모니터 시스템으로 출력됩니다.
- 채널 1: AES50-A 1번 (보컬 마이크)
- 채널 2: Local Input 3번 (기타)
- 채널 3: USB Input 17/18 (MR)
- 출력 1-2: Main L/R → XLR Out 1-2
- 출력 3-4: Bus 1-2 (모니터 믹스) → AES50-A 5-6
WING의 라우팅은 다층적이며 유연한 구조로, 네트워크 오디오 시대에 매우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X32에 익숙하신 분들에게는 처음에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익숙해지고 나면 왜 이렇게 설계되었는지 명확히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음향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공유] 음향작업용 패치리스트 엑셀파일 공유 (0) | 2025.04.14 |
---|---|
[장비 관련] 맥키 음향 장비 관련 드라이버 (0) | 2025.04.13 |
[베링거 WING] ROUTING(라우팅)-SOURCES(소스) 설정 (0) | 2025.04.12 |
[문제 해결] 베링거 WING 라우팅이 안될 때 해결 방법 (0) | 2025.04.11 |
[음향] 디지털 음향 콘솔 다루기 (0) | 2025.04.09 |
[매뉴얼] 베링거 WING RACK 매뉴얼 (퀵 스타트 가이드) (0) | 2025.04.08 |
[매뉴얼] 베링거 WING COMPACT 매뉴얼 (퀵 스타트 가이드) (0) | 2025.04.07 |
[매뉴얼] 베링거 WING & WING-BK 매뉴얼 (퀵 스타트 가이드)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