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32/M32] 씬 저장/불러오기가 이상할 때 해결 방법
목차
· 씬 저장/로드 오류 발생
X32(=M32)를 사용하다 보면 씬(Scene)을 불러오기(Load, Go)했는데 채널에 들어오는 입력 소스가 다르다거나 라우팅이 엉뚱하게 꼬여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 때 많이들 당황해서 장비가 고장났다고 연락하시는데 천천히 만져보시면 조작 실수인 경우가 더 많습니다.
물론 진짜 장비 이상인 경우도 없지는 않습니다만 높은 확률로 어쩌다 세이프를 걸어 놓은 케이스일 수 있으니 아래 글을 잘 보시고 그래도 안되면 장비를 의심해 보세요.
· 오류가 생기는 이유
X32, M32는 아무래도 10년도 더 된 구형 콘솔인 만큼 (X32는 2011년, M32는 2014년 출시) UX/UI가 충분히 고려되지 못한 부분이 많이 보입니다. 특히 특정 버튼이 각각 다른 메뉴에서 여러 다른 기능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서 스크린을 충분히 천천히 보면서 조작하지 않는다면 엉뚱한 곳에서 엉뚱한 명령을 실행하게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다시 말 해서 사용자가 익숙할수록 버튼 오동작으로 인한 실수가 늘어나도록 되어있는 것이죠.
그럼 M32의 씬(Scene) 관리 화면을 봅시다. 아래와 같이 버튼이 할당되어 각 기능을 담당합니다.
LCD스크린 아래 버튼 구성을 보면 가장 우측에 set라고 할당된 로터리 노브가 보입니다. (위 사진의 6번 노브) 이 노브를 잘 기억하세요.
자 그러면 씬(Scene)을 하나 로드(Load)해 봅시다.
Go를 눌러 씬(Scene)을 로드(Load)하면 위와 같이 컨펌(Confirm) 창이 나옵니다. 컨펌(Confirm) 버튼이 어디에 있죠? 방향키 중 오른쪽 화살표 방향키(▶)를 누르거나 스크린아래 로터리 노브 중 맨 오른쪽 노브를 돌리지 않고 눌러서 버튼으로 작동하게 되면 컨펌(Confirm)입니다.
이번엔 씬(Scene)을 저장(Save)해 봅시다.
저장(Save)할 씬(Scene) 이름을 수정(Edit Name)하고나서... Save 버튼이 어디에 있나 봅시다. 어디서 많이 본 위치죠?
Save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컨펌(Confirm) 창이 뜨죠.
씬 로드(Scene Load)때와 같은 경고(Warning) & 컨펌(Confirm) 창이 나옵니다. 이때는 컨펌(Confirm) 버튼이 어디에 있죠? 동일하게 방향키 중 오른쪽 화살표 방향키(▶)와 스크린아래 노브 중 맨 오른쪽 노브의 버튼이 컨펌(Confirm) 기능입니다.
씬(Scene) 관련 뿐만 아니라 여러 확인이 필요한 창에서 이 노브(버튼)이 컨펌(Confirm)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점점 이 콘솔에 익숙해질수록 사용자(엔지니어)의 머릿속에는 이 노브(버튼)가 컨펌(Confirm)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각인되어 갑니다.
· 오류 재현
이제 다시 씬(Scene) 메뉴로 돌아와서 컨펌(Confirm) 이었던 버튼에 어떤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지 봅시다.
뭐라고 적혀 있죠?
Set.
뭘 셋(Set) 하는 거죠? 셀렉트(Select) 아래 Rout라고 적혀있죠.
사진에서 빨간색 박스 안의 바로 이 부분을 세팅하는 기능입니다.
이게 뭐냐면 공연/행사 중 씬 로드(Scene Load) 시 바뀌면 안되는 부분들을 체크해서 그 부분을 제외하고 씬(Scene)이 로드(Load)되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이 화면에 보이는 Routing I/O, Output Patch/User, Preamp(HA), Configuration, Channels, Mix Buses, Effects, Talkback 등의 세이프 설정 외에도 위쪽 탭에 보이는 것 처럼 파라미터 세이프(Parameter Safe), 채널 세이프(Channel Safe)를 통해 더 디테일한 세이프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 기능 자체는 필요하고 좋은 기능입니다.
하지만 계속 봤던 대로 버튼의 위치가 문제입니다.
사용자가 씬(Scene) 로드(Go, Load)버튼을 이미 눌렀다 착각하고 컨펌(Confirm)버튼을 먼저 누르게 되면 Routing I/O에 세이프(Safe)가 걸리고 씬의 Rout 부분에 체크 표시(x)가 됩니다. 라우팅(Routing I/O) 부분을 로드하지 않도록 세팅한 겁니다.
혹은 일반적인 Load 표기가 아니라 Go라고 되어있는 부분을 이해 못한 초심자가 Set 버튼이 해당 씬으로 셋업하는 기능인 줄 착각하고 누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어쨌든 이제 체크 표시된 씬을 로드(Load)해 봅니다.
라우팅이 다 꼬여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라우팅(Routing) I/O에 세이프(Safe)가 걸려서 라우팅(Routing)을 제외한 다른 세팅들만 로드(Load)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 결론
결국 사용자에게 컨펌(Confirm) 버튼으로 각인된 이 녀석이 문제입니다.
사용자 엔지니어의 착각으로 인한 오작동이 가장 흔한 오작동의 원인입니다.
그리고 그 다음이 노브의 내구성이 다해 더블클릭 등으로 오작동 된 케이스입니다.
하드웨어 고장 중에서도 가장 흔한 고장인 로터리 노브 내구성 문제로 노브가 너무 민감하게 변했던가 클릭이 잘 안되거나 반대로 더블 클릭이 나거나 하는 경우 이 세이프모드(Safe Mode)가 라우팅(Routing) 뿐만 아니라 HA나 채널(Channel) 등등의 다른 부분까지 세이프(Safe)가 걸릴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더블클릭이 가장 많이 이 오류를 일으킵니다.
씬 세이브(Scene Save)나 로드(Scene Load) 누르고 컨펌(Confirm) 창에서 그대로 더블클릭이 나면 컨펌(Confirm)을 누른 후 세이프(Safe) 작동을 연달아 시킨 것과 같게 되는데 사용자는 한번만 눌렀으니 조작한 게 없는데 장비가 멋대로 세이프(Safe)를 걸었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 오류 해결
이제 씬(Scene)에 세이프(Safe)가 걸려있는지 확인해 봅시다. 가끔 씬(Scene)외에도 파라미터 세이프(Parameter Safe)나 채널 세이프(Cannel Safe)에도 걸려있는 경우가 있으니 여기까지 확인하시는 걸 권장합니다.
세이프(Safe) 걸려있는 것이 하나도 없는데 씬 저장(Scene Save)/불러오기(Scene Load)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그때 다른 오류나 장비 이상을 의심해 보아야 하겠습니다.
'음향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뉴얼] 베링거 WING & WING-BK 매뉴얼 (퀵 스타트 가이드) (0) | 2025.04.06 |
---|---|
[매뉴얼] 베링거 X32 PROCUDER (X32P) 매뉴얼 (0) | 2025.04.04 |
[매뉴얼] 베링거 X32 COMPACT (X32C) 매뉴얼 (0) | 2025.04.03 |
[매뉴얼] 베링거 X32 매뉴얼 (0) | 2025.04.03 |
[베링거 WING 믹싱 TIP] 입력 소스 라우팅 전에 미리 들어보기 (0) | 2025.04.01 |
[베링거 WING] WING RACK 스펙 (0) | 2025.03.30 |
[베링거 WING] WING COMPACT 스펙 (0) | 2025.03.29 |
[베링거 WING] WING BK (=화이트) 풀사이즈 스펙 (0) | 2025.03.29 |